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고3 여름방학을 어떻게 보낼까...

입시정보

by 입시맘 2023. 8. 9. 14:28

본문

고3에게는 마지막 기회가 될 수 있는 마지막 여름방학....

여름방학을 어떻게 보내야 가장 효율적일까요?

여름방학을 가장 효율적으로 보낼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생각해볼까 합니다.

 

1. 수능준비

수능은 기본적으로 준비해야 하는 것이므로 무조건 계속적으로 준비를 해야 합니다.

흐트러지거나 흔들리지 않고 정시 및 수능 준비는 기존 방법대로 유지를 해야 합니다.

 

 

2. 학생부 수정

내신이나 출결 등은 이제 어쩔 수 없는 부분이지만 지금이라도 본인이 지원하고자 하는 학교와 학과에 유리하도록 수정해야합니다. 여름방학이 학생부를 수정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이므로 출결이나  세부 능력 및 특기사항 등이 누락된 것이 없는지 잘못 기재된 것은 없는지 점검해 보아야 합니다.

특히 수시 지원을 할 때 지망하고자 하는 학과에 맞춰서 장래희망과 독서기록을 수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장래희망의 경우 구체적으로 본인이 희망하는 학과에 맞추어 수정합니다.

독서기록도 본인이 지원할 학과에 맞추어 10권 정도 기재하는 것이 좋습니다.

 

 

3. 자기소개서 작성 및 수정

부지런한 학생의 경우 2학년부터 자기소개서 작성을 하는데요..

고3 여름방학의 경우도 매우 늦은 시기이기는 하지만 자기소개서 작성을 하고 지속적인 수정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 학업관련 내용

  지원하는 학교 및 학과의 수업을 충분히 따라갈 수 있는 실력임을 입증하는 설명을 해야 합니다.  대부분의 학생의 경우 특별한 공부방법이란 것이 없기 때문이 구체적인 사례로 내가 어떤 내용에 대해 이해가 어려워서 어떤 방법으로 극복을 했는지 구체적인 사례를 예로 들어 설명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면 학생이 취약한 과목에 대한 예를 들어 어떤 방법으로 공부해서  실력이 나아졌는지 구체적으로 기술해 줍니다.  그리고 그로인해 느낀 점이나 얻은 점 등을 쓰는 것이 좋습니다.

- 교내외 활동 관련

 학급이나 교내에서 임원을 맡았다면 그 내용에 대해 씁니다. 그런 것이 없다면  동아리 활동이나 스터디 그룹 혹은 수행평가 중에서 내가 활약을 했다거나 리더쉽을 발휘한 부분이 있다면 쓰는 것이 좋습니다.

- 나눔배려인성 관련

 너무 뻔한 봉사활동 관련한 내용만 장황하게 쓰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기왕이면 본인의 인성이나 인간관계가 드러날 수 있도록 쓰는 것이 좋습니다.  교내에서 갈등상황이 있었을 때 해결해 나가는 나의 모습이나 중재한 경험이 있다면 매우 좋습니다.  그것을 통해서 느낀점 얻은 점 등도 기술합니다.

- 지원동기 관련

 장래희망과 연결하여 구체적으로 씁니다. 궁극적인 미래의 목표와 관련하여 스는 것도 좋습니다.

 

위에 기술한 내용은 저의 개인적 의견이니 참고만 해주시길 바랍니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