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교 입시 면접은 어떻게 준비하는게 좋을까요?
대입 면접은 크게 인성 면접과 전공 적합성 면접으로 나뉩니다.
인성 면접에서는 주로 학생부 및 학생 스스로에 대해 질문하는 편이고 전공 적합성 면접의 경우에는 전공에 관련된 질문이 주가 되는 편입니다.
2024년도부터 자기소개서가 폐지되어 면접은 더욱 중요해질 전망입니다.
각 질문에 대해서는 약 5문장 정도로 1분 이내에 답변이 끝날 수 있도록 간결하게 준비합니다. 각각의 경우에 어떻게 준비해야 되는지 살펴봅시다.
인성면접의 경우에는 매년 반복되는 질문이 대부분입니다. 매년 반복되는 질문에 대해 연습을 해야 합니다.
대표적으로 매년 반복되는 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지원동기, 학업 및 진로 계획, 본인 장단점, 존경하는 인물, 역경을 극복하는 방법 등입니다. 거의 매번 나오는 질문이므로 미리 답변을 준비하여 여러 번 읽어보는 것이 좋습니다. 전공에 관련한 질문의 경우에는 대답이 어려울 수도 있지만, 인성 면접에서 답변을 못하는 경우에는 당락에 중요한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학생부 기록에 대한 변명(?)을 준비해야 합니다.
전학관련 질문이나 성적의 등락 관련 질문 등에 대해 답변을 준비하면 좋습니다.
학생부에 장기결석이나, 무단 지각, 무단 결석 등이 기재되어 있다면 그에 대한 답변및 사유에 대해 반드시 준비합니다.
장래희망 변경 관련한 내용도 자주 나오는 질문입니다.
장래희망이 변경된 경우 그에 대한 사유 및 전공과 장래희망의 연관성에 대한 것도 답변을 준비합니다.
동아리 활동에 대해서는 동아리에서 본인이 맡은 역할 및 활동에 대해서 답변을 준비합니다.
수상 관련 질문에 대해서는 준비과정 및 본인의 역할에 대한 답변을 준비합니다.
답변은 전반적으로 어떤 것에 대한 준비 이유, 나의 역할, 활동 후 느낀 점 순으로 30~40초 정도 대답할 수 있도록 준비합니다.
학생부를 주변 사람에게 보여주고 자연스럽게 문답해보는 형식으로 연습해 봅니다.
지원동기, 학업 및 진로계획, 본인 장단점, 존경하는 인물, 역경 극복하는 방법 등은 항상 나오는 질문이므로 답변을 꼭 준비합니다.
- 지원동기 : 80% 이상이 지원 동기에 대한 질문을 받습니다. 콕 찝어서 지원동기를 말하라고 하는 것보다는 여러가지 형태로 지원동기에 대해 물어봅니다. 지원동기에 대한 답변은 되도록이면 장래희망과 연결하여 학과 관련하여 대답하면 좋습니다. 지원한 전공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된 계기, 관심 분야에 대한 본인의 생각, 장래 희망의 범위를 좁혀서 구체적으로 제시한다면 좋은 점수를 받을 수 있습니다.
- 학업 및 진로계획 : 학업계획은 어떤 부분의 역량을 키워나갈 예정인지 말합니다. 진로계획은 졸업 후나 5년 후 나의 모습 등으로도 물어보는 경우도 있습니다.
- 본인 장단점 : 장점의 경우에는 구체적 사례를 예로 들어 실제로 어떻게 좋은 쪽으로 영향을 미쳤는지 답변을 합니다. 단점의 경우에는 본인이 고치려고 노력했던 점과 보완방법 등의 설명도 같이 하면 좋습니다.
- 존경하는 인물 : 너무 진부한 대답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반기문, 한비야, 안철수, 부모님 등은 많은 학생들이 대답했던 답이므로 피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꼭 학과 관련 인물이 아니어도 괜찮습니다. 정치적으로 민감한 인물은 제외하는 것이 좋습니다. 존경하는 인물이 나에게 준 가치관이나 생각의 변화까지 답변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 감명깊게 읽은 책 : 자기계발서를 제외하고 대답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가벼운 소설류도 제외하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어떤 영향을 받았는지 나의 인생에 어떠한 영향이 있었는지 등에 대해 설명해 봅니다.
- 역경 극복 방법 : 살아오면서 힘들었던 순간에 관한 질문에 대해서는 정말 실질적인 내용이 있다면 정리하여 답변을 준비해도 되고, 특별한 것이 없는 경우 사춘기 시절 가치관 혼란, 인간관계의 어려움 등에 대해 답변하고 어려움에 대한 회복 방법, 극복 방법 및 나의 가치관에 변화를 준 점등까지 같이 답변하면 좋습니다.
이외에도 추가적으로 자기소개 멘트를 간단하게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많은 대학에서 인성 면접만 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그러나 상위권 대학의 경우 전공 적합성 면접을 진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지원하는 학교에서 전공 적합성 면접을 하는지의 여부는 입학처에 전화로 확인하는 것이 가장 확실합니다. 지문이 주어지는 면접이 있는지 물어봐도 됩니다. 주로 전공에 대한 관심도 및 지식, 시사문제도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최근 이슈는 미리 기사등을 보고 알아가는 것이 좋습니다. 정치적으로 민감한 문제에 대한 질문은 별로 없습니다. 전공 적합성 면접의 경우에는 기출 문제가 따로 없습니다. 각 교수에 따라 어떤 질문이 나올지 알 수가 없고 정해진 틀도 없습니다. 그러나 대부분 교과 과정 내에서 나오는 내용입니다. 주로 단순 지식이나 사실을 묻는 경우보다 의견을 물어보는 형태가 많습니다.
질문을 들었을 때 혹시라도 모르는 내용이 나온다면, 무작정 답변하기 보다는 모르는 것에 대해 풀어서 설명해 달라고 정중히 요구하거나 예의바르게 다시 한번 물어본 후 대답할 수도 있습니다. 찬반문제에 관한 질문에서는 면접관이 반론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딱히 정답이 없으므로 본인 생각을 합리적으로 전달하면 됩니다. 나의 의견에 대해 면접관이 반론을 제시하면 너무 놀라거나 감정적으로 대응하지 말고 유연하게 대처해야 합니다. 합리적인 반론에 대해서는 겸허히 받아들이고, 내 의견을 논리적으로 정리하여 제시하는 태도가 좋습니다. 정말 대답을 하기 힘든 경우에는 양해를 구하고 10초 이내로 생각을 정리하여 답변을 하는 것도 좋은 태도입니다.
요즘은 기출문제를 공개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해당 대학교 입학처에 기출문제를 요청하거나 교육청 진로진학정보센터 자료실에도 기출문제가 복원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니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보통 질문 말미에 다른 학교 지원 상황을 물어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면접관의 경우 나의 다른 학교 지원 상황에 대해 알 수 없으므로 이왕이면 다른 학교 같은 과로 대답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현재 면접하고 있는 학교에 대해 강한 진학 의지를 보여주는게 좋을 듯 합니다. 제일 마지막에 추가로 하고 싶은 말을 물어본다면 짧고 임팩트 있는 대답을 미리 준비하여 답변하는 것이 좋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위의 내용은 제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논술전형에 대한 이해 및 준비 (0) | 2023.08.31 |
---|---|
2024학년도 서울삼육중학교 신입생 입학 전형요강 (0) | 2023.08.22 |
학생부종합전형 VS 학생부교과전형 (0) | 2023.08.09 |
고3 여름방학을 어떻게 보낼까... (0) | 2023.08.09 |
2024학년도 부산국제중학교 신입생 입학전형요강, 모집요강, 부산국제중 입시 (0) | 2023.08.03 |